몬테네그로 왕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몬테네그로 왕국은 1910년 8월 28일 니콜라 1세에 의해 몬테네그로 공국에서 왕국으로 승격되었다. 몬테네그로는 제1차 세계 대전 중 세르비아 편에 서서 협상국에 가담했으나,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에 점령당했다. 1918년 포드고리차 회의를 통해 니콜라 1세를 폐위하고 세르비아와 통합되었으며, 이후 세르비아·크로아티아·슬로베니아 왕국(유고슬라비아)의 일부가 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몬테네그로 왕국 - 런던 조약 (1915년)
1915년 런던 조약은 제1차 세계 대전 중 연합국이 이탈리아의 참전을 대가로 트렌티노, 남티롤, 달마티아 일부 등을 포함한 영토적 이익과 아프리카에서의 보상, 금전적 지원을 이탈리아에 약속한 비밀 조약이었으나, 이탈리아는 약속된 모든 영토를 얻지 못해 불만을 샀다. - 몬테네그로 왕국 - 오나모, 오나모!
오나모, 오나모!는 니콜라 1세가 1867년에 발표한 시로, 오스만 제국에 대한 저항, 세르비아 민족 통일, 과거 영광 회복, 프리즈렌에 대한 열망을 담고 있으며, 세르비아 민족주의 운동에 큰 영향을 미쳐 "세르비아의 라 마르세예즈"라고 불렸다. - 몬테네그로의 역사 - 발칸 동맹
발칸 동맹은 1912년 오스만 제국에 대항하여 세르비아, 몬테네그로, 불가리아, 그리스가 결성한 군사 동맹으로, 복잡한 국제 정세와 각국의 이해관계 충돌, 오스만 제국의 약화가 배경이었으나, 영토 야망과 불신으로 제2차 발칸 전쟁을 초래하며 붕괴되어 제1차 세계 대전 발발에 영향을 미쳤다. - 몬테네그로의 역사 - 세르비아 몬테네그로
세르비아 몬테네그로는 유고슬라비아 해체 후 세르비아와 몬테네그로로 구성된 국가로, 유고슬라비아 연방 공화국으로 불리다 2003년 "세르비아 몬테네그로"로 개칭되었으나 몬테네그로 독립으로 2006년 해체되었다. - 유럽사 - 나치 독일
나치 독일은 아돌프 히틀러의 나치당이 통치한 1933년부터 1945년까지의 독일을 가리키며, 극단적인 민족주의와 전체주의를 바탕으로 제2차 세계 대전을 일으키고 홀로코스트를 포함한 대량 학살과 인권 유린을 자행했다. - 유럽사 - 제1차 체첸 전쟁
제1차 체첸 전쟁은 1994년부터 1996년까지 러시아 연방과 이치케리야 체첸 공화국 간의 무력 분쟁으로, 독립 선언, 정치적 불안정, 그리고 조약 미체결이 주요 원인이 되었으며, 러시아군의 군사력에도 불구하고 게릴라전과 인권 침해로 인해 장기화되어 결국 러시아군의 철수와 사실상 독립을 가져왔지만, 제2차 체첸 전쟁의 빌미를 제공했다.
몬테네그로 왕국 - [옛 나라]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 | |
![]() | |
기본 정보 | |
공식 명칭 | }} |
일반 명칭 | 몬테네그로 왕국 |
시대 | 20세기 제1차 세계 대전 |
정부 형태 | 단일 의회 입헌군주제 군사독재 하에서 (1913년 ~ 1917년) |
건국 시기 | 1910년 |
멸망 시기 | 1918년 |
건국 사건 | 선포 |
건국 날짜 | 1910년 8월 28일 |
멸망 사건 | 포드고리차 의회 |
멸망 날짜 | 1918년 11월 28일 |
선행 국가 | 몬테네그로 공국 |
후행 국가 | 세르비아 왕국 |
후행 국가2 | 유고슬라비아 왕국 |
수도 | 체티네 |
망명 수도 | 보르도 뇌이쉬르센 |
국가 | (우리의 아름다운 몬테네그로에게) |
공용어 | 세르비아어 |
통화 | 몬테네그로 페르페르 |
입법부 | 인민 의회 |
면적 | 14,000 km² |
현재 국가 | 몬테네그로 세르비아 코소보 |
국민 | 몬테네그로인 |
정치 | |
국가 원수 | 국왕 |
국왕 | 니콜라 1세 |
국왕 재위 기간 | 1910년 ~ 1918년 |
정부 수반 | 총리 |
총리1 | 라자르 토마노비치 |
총리1 재임 기간 | 1910년 ~ 1912년 |
총리2 | 예브게니예 포포비치 |
총리2 재임 기간 | 1917년 ~ 1918년 |
역사 | |
발칸 전쟁 | 1912년 ~ 1913년 |
런던 조약 | 1913년 5월 30일 |
발칸 전선 | 1914년 ~ 1918년 |
코르푸 선언 | 1917년 7월 20일 |
국기 및 국장 | |
![]() | |
![]() |
2. 역사
몬테네그로 공국은 1852년 몬테네그로의 주교공이었던 다닐로 1세가 세속 공(књаз, prince)을 자칭하면서 건국되었다. 이후 니콜라 1세가 1905년 헌법을 개정하여 군주의 칭호를 "공"에서 "왕(Краљ)"으로 승격시켰고, 1910년 즉위하여 공식적으로 몬테네그로 왕국이 성립되었다. 수도는 체티녜였다. 몬테네그로 왕국은 입헌군주제를 채택했지만 실질적으로는 절대군주제 국가였다.
몬테네그로는 발칸 전쟁에서 승전국으로서 영토 확장에 성공했다. 1914년 제1차 세계 대전에서는 세르비아 왕국을 지원하기 위해 협상국 측에 참전했으나,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군의 침입으로 전 영토를 점령당했다. 1916년 1월 15일 왕국 정부는 항복했지만, 니콜라 1세는 이를 받아들이지 않고 이탈리아를 거쳐 보르도로 망명하여 저항을 계속했다.
당시 범슬라브주의에 기반한 세르비아 왕국 주도의 슬라브인 통합, 즉 유고슬라비아 건국 운동이 활발했고, 1917년 7월 20일 코르푸 선언을 통해 몬테네그로와 세르비아 왕국, 크로아티아, 슬로베니아, 마케도니아의 통합이 선언되었다. 1918년 10월 포드고리차에서 개최된 포드고리차 회의는 니콜라 1세의 폐위와 세르비아로의 통합을 선언했고, 1918년 12월 1일에 세르브-크로아트-슬로베네 왕국이 성립되었다. 연합국이 이 조치를 승인한 것은 1922년이다.
니콜라 1세는 이러한 움직임이 부당하다고 주장하며 왕위를 계속 주장했고, 그의 망명 정부는 손자인 미하일로 페트로비치(왕으로서는 미하일로 1세)가 유고슬라비아 왕국을 승인하는 1929년까지 존속했다.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몬테네그로를 점령한 이탈리아 왕국은 괴뢰 정권으로서 몬테네그로 왕국 재건을 검토했으나(이탈리아 지배하의 몬테네그로), 미하일로는 왕위 제안을 거절했고, 후에 강제 수용소에 수감되었다.
2011년 몬테네그로 정부는 페트로비치-네고시 재단을 설립하고, 대표인 왕가 당주에게 대통령과 같은 급여를 지급하는 등 왕가 예우법을 채택했다.[5]
2. 1. 왕국 성립 배경
니콜라 1세는 1910년 8월 28일 체티녜에서 몬테네그로 왕국을 선포하여 공국에서 왕국으로 승격시켰다. 니콜라 1세는 1860년부터 왕세자로서 통치해 왔으며, 20세기 초 헌법 제정과 몬테네그로 페르페르 도입과 같은 여러 현대화 개혁을 시작했다. 몬테네그로는 독립 국가였지만, 세르비아와 국민적, 문화적으로 가까웠다.[3]
몬테네그로는 1912년 제1차 발칸 전쟁에 참여하여 오스만 제국이 지배하던 루멜리아의 마지막 지역을 차지하려 했다. 1913년 5월 30일 산자크를 세르비아와 분할하여 영토를 확장했으나, 같은 해 5월 열강의 압력으로 새로 점령한 이스코드라(세르비아어 ''스카다르'', 오늘날의 슈코더)를 새로운 알바니아 국가에 넘겨주어야 했다. 에사드 파샤는 몬테네그로가 중부 알바니아에서 자신의 주장을 지지하는 대가로 이 도시를 넘기는 거래를 했지만, 슈코더와 그 주변 지역은 알바니아계 주민이 대다수였기 때문에 결국 알바니아로 넘어갔다.
1913년 6월 제2차 발칸 전쟁이 발발했을 때, 세르비아는 불가리아와 싸웠고 니콜라 1세는 세르비아 편을 들었다. 제1차 세계 대전 중 몬테네그로는 니콜라 1세의 친세르비아 정책에 따라 협상국과 동맹을 맺었다.
2. 2. 발칸 전쟁과 영토 확장
몬테네그로는 1912년 제1차 발칸 전쟁에 참여하여 오스만 제국이 지배하던 루멜리아 지역을 차지하려 했다. 1913년 5월 30일 세르비아와 산자크를 분할하여 영토를 확장했다.[3] 그러나 1913년 5월 열강의 압력으로 새로 점령한 이스코드라(세르비아어로는 '스카다르', 오늘날의 슈코더)를 새로운 알바니아 국가에 넘겨주어야 했다.[3] 에사드 파샤는 몬테네그로가 중부 알바니아에서 자신의 주장을 지지하는 대가로 이 도시를 몬테네그로에 넘기는 거래를 했지만, 슈코더와 그 주변 지역은 알바니아계 주민이 대다수였기 때문에 이 지역은 알바니아로 넘어갔다.[3]1913년 6월 제2차 발칸 전쟁이 발발했을 때, 세르비아는 불가리아와 싸웠고 니콜라 1세는 세르비아 편을 들었다.[3]
2. 3. 제1차 세계 대전과 왕국의 멸망
제1차 세계 대전(1914~1918) 중 몬테네그로는 니콜라 1세의 친세르비아 정책에 따라 협상국과 동맹을 맺었다. 이에 따라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은 몬테네그로 원정을 통해 1916년 1월 15일부터 1918년 10월까지 몬테네그로를 점령했다.[3] 1918년에는 동부 아드리아 해 점령의 일환으로 프랑스와 이탈리아 군대가 해안 지역을 점령했다.1917년 7월 20일 코르푸 선언 서명은 몬테네그로와 세르비아의 통합을 예고했다.[3] 1918년 11월 26일, 몬테네그로 국민을 대표한다고 주장하는 선출된 기구인 포드고리차 회의는 니콜라 1세를 폐위하고 몬테네그로를 세르비아와 통합한다는 결의안을 만장일치로 채택했다. 이 사건 이후, 이전에는 자신의 왕조가 중추적인 역할을 하는 더 큰 국가를 세우기 위해 세르비아와의 통합을 지지했던 니콜라 1세는 몬테네그로 민족주의를 장려하고 세르비아와의 통합에 반대하는 입장을 취했으며, 1921년 프랑스에서 사망할 때까지 그 입장을 유지했다.[3]
1918년 12월 1일, 세르비아와 몬테네그로는 새로운 세르비아·크로아티아·슬로베니아 왕국(유고슬라비아)의 주요 부분을 형성했다.
2. 4. 세르비아와의 통합과 유고슬라비아 왕국
1917년 7월 20일 코르푸 선언 서명으로 몬테네그로와 세르비아의 통합이 예고되었다.[3] 1918년 11월 26일, 몬테네그로 국민을 대표한다고 주장하는 선출된 기구인 포드고리차 회의는 망명 중이던 니콜라 1세를 폐위하고 몬테네그로를 세르비아와 통합한다는 결의안을 만장일치로 채택했다.[3] 이 사건 이후, 이전에는 자신의 왕조가 중추적인 역할을 하는 더 큰 국가를 세우기 위해 세르비아와의 통합을 지지했던 니콜라 1세는 몬테네그로 민족주의를 장려하고 세르비아와의 통합에 반대하는 입장을 취했으며, 1921년 프랑스에서 사망할 때까지 그 입장을 유지했다.[3]1918년 12월 1일, 세르비아와 몬테네그로는 세르비아인·크로아티아인·슬로베니아인 왕국(유고슬라비아)의 주요 부분을 형성했다.[3]
제2차 세계 대전 중 유고슬라비아 점령군은 이탈리아 몬테네그로 총독부를 괴뢰 왕국으로 만들려고 했지만, 이 계획은 실현되지 않았다.
3. 정치
몬테네그로 왕국의 정치에 대해서는 현재 주어진 자료가 없어 내용을 작성할 수 없습니다.
3. 1. 역대 국왕
- 니콜라 1세 (1910년–1918년, 망명 정부에서 1921년 서거할 때까지 왕위 주장)
- 다닐로 (왕세자, 1921년 3월 1일-3월 7일, 니콜라 1세 사후 왕위 계승권 포기)
- 미하이로 1세 (명목상 재위 1921년-1929년, 1929년 성인 이후 왕위 계승권 포기 및 유고슬라비아 승인)
3. 2. 역대 총리
- 라자르 토마노비치 (1910년–1912년)
- 미타르 마르티노비치 (1912년–1913년)
- 얀코 부코티치 (1913년–1915년)
- 밀로 마타노비치 (1915년–1916년)
- 라자르 미유슈코비치 (1916년)
- 안드리야 라도비치 (1916년–1917년)
- 밀로 마타노비치 (1917년)
- 에브게니예 포포비치 (1917년–1919년)
- 요반 플라메나츠 (1919년–1921년)
- 안토 그보즈데노비치 (1921년–1922년)
- 밀루틴 부치니치 (1922년)
- 안토 그보즈데노비치 (1922년)
참조
[1]
텍스트
[2]
웹사이트
Constitution of the Principality of Montenegro, 1905, Article 40
http://montenegrina.[...]
[3]
서적
GRANICA NA MEDITERANU. ISTOČNI JADRAN IZMEĐU ITALIJE I JUŽNOSLOVENSKOG SVETA OD XIII DO XX VEKA
Arhipelag
[4]
웹사이트
Constitution of the Principality of Montenegro, 1905, Article 40
http://montenegrina.[...]
[5]
웹사이트
Usvojen Zakon o statusu potomaka dinastije Petrović - Njegoš
http://www.portalana[...]
[6]
텍스트
[7]
웹사이트
Constitution of the Principality of Montenegro, 1905, Article 40
http://montenegrina.[...]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